* 테이블스페이스는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내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오라클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고 말 그대로 데이터들을 관리한다. 즉 어딘가에 있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추출하고, 삭제하고 변경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파일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파일들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런데 이 파일들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적인 공간, 데이터 파일들이고, 오라클 내부에서는 데이터블록(data block), 익스텐드(extend), 세그먼트(segment), 테이블 스페이스(tablespace)라는 논리적인 개념으로 데이터들을 관리한다. 오라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최소의 논리적인 단위가 데이터블록이며, 데이터블록이 모여 익스텐드가 되고, 익스텐드가 모여 세..
나는 eclipse juno 버전을 쓰고 있었는데 2016년 6월에 나온 11번째의 eclipse neon버전을 사용하고 싶었다. 그래서 깔았고 실행을 했지만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이라는 문구가 뜨며 Java was started but returned exit code=1 에러가 났다. 해당 오류와 관련하여 구글링을 해보았지만 대부분 eclipse\eclipse.ini의 -Xms 이런 옵션 메모리 사이즈를 고치라는 조언이였다. 나는 이것을 고쳐도 잘 되지 않아서 다른 포스팅을 보고서 해결하였는데 두번째 Open File 밑에 jvm.dll의 절대경로를 써주는 것이였다. -vmC:\Program Files\Java\jdk1.8.0_77\jre\bin\..
Servlet의 특징 - 동적 웹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 .java확장자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동적으로 작동하고, 응답은 html을 이용 - java thread 이용하여 동작 (java thread를 이용하다보니 서버에 부하가 많이 덜간다.) -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됨 MVC 패턴 Client -----> Controller(servlet) -----> Model DB -----> Model -----> Controller -----> View -----> Client web.xml 서블릿 맵핑 너무 길고, 보안에 노출되어 있는 경로를 간단하게 맵핑한다. 22:38(매핑)정리
hosts 파일이란?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는 파일로 호스트 이름과 이에 대응하는 IP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로 인터넷 접속 시 컴퓨터가 가장 먼저 확인하는 파일이다. 사람이 컴퓨터에 할당된 IP 주소를 기억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통신하는 컴퓨터에게 이름(호스트 이름)을 부여하고 그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로컬네임서버(DNS) IP를 도메인에 매핑시켜주는! 도메인?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 한글 등)으로 만든 인터넷 주소.http://www.krnic.or.kr/jsp/resources/domainInfo/domainInfo.jsp(도메인체계 - KRNIC) www.ahnlab.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 체계(FQDN)..
JSP란? JavaServer Pages/ HTML내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여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웹 브라우저에 돌려주는 언어.JAVA EE 스펙 중 일부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한다. JavaServer Pages 는 실행시에는 자바 서블릿으로 변환된 후 실행되므로 서블릿과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서블릿과는 달리 HTML 표준에 따라 작성되므로 웹 디자인하기에 편리하다. DNS - IP 주소를 DNS 서버를 통해서 맵핑한 문자열 웹 컨테이너란 - JSP와 서블릿을 이용한 context root - 하나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지정 content directory - 내용이 담겨져 있는 폴더 webContent - 여러가지 컴포넌트(jsp, html) Ja..
1. JDK 설치 = http://java.sun.com - Java for Developer - Java SE Downloads - 설치 후 환경변수 PATH에 javac.exe를 포함시켜 어느 디렉토리에서나 javac.exe가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시스템 속성 - 고급 - 환경변수 - JDK 주소 등록 ex) JAVA_HOME = C:\Program Files\Java\jdk1.8.0_77) path -> %JAVA_HOME%\bin; 확인 -> cmd -> javac (환경변수를 바꾼 뒤 재부팅 해줘야 나는 적용이 되었다) 2. Eclipse 설치 3. Tomcat 설치 4. Eclipse - Tomcat 연동(Tomcat 자체에 올려도 되지만) - 서버탭 생성 후 내가 설치한 Tomc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