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nge 단축키 CTRL + ENTER : 단위로 쿼리 실행CTRL + L : 선택한 쿼리만 실행CTRL + M : 현재라인 아래로 CTRL + J : 현재라인 쿼리 실행 CTRL + K : 현재커서CTRL + U : 소문자로 변경CTRL + SHIFT + U : 대문자로 변경CTRL + - : 주석설정CTRL + SHIFT + - : 주석해제F4 : 테이블 상세정보 열람F5 : 모든쿼리 실행F8 : 쿼리 히스토리 볼수있음ALT + C : 테이블에 마우스오버후 눌러주면 테이블 컬럼 상세정보 열람CTRL + F12 : COMMIT CTRL + SHIFT + F12 : ROLLBACK 톰캣 버전 확인 %CATALINA_HOME%\bin\catalina version
* 사용자변수 = 컴퓨터에 있는 각 계정에서 사용되는 변수, 즉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컴퓨터에 로그인 시에만 적용되는 변수 * 시스템 변수 = 시스템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변수, 즉 전역 변수와 같은 개념 간단한 예를들면, JAVA_HOME설정이 사용자1 변수에 있다면, 사용자1로 로그온시, cmd 입력란에 javac , jav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음. 사용자2로 로그온시, cmd 입력란에 javac, jav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음. 사용자3로 로그온시, cmd 입력란에 javac, jav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음. JAVA_HOME설정이 시스템 변수에 있다면, 사용자1로 로그온시, cmd 입력란에 javac , jav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음. 사용자2로 로그온시, cmd 입력란에 javac..
나는 eclipse juno 버전을 쓰고 있었는데 2016년 6월에 나온 11번째의 eclipse neon버전을 사용하고 싶었다. 그래서 깔았고 실행을 했지만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이라는 문구가 뜨며 Java was started but returned exit code=1 에러가 났다. 해당 오류와 관련하여 구글링을 해보았지만 대부분 eclipse\eclipse.ini의 -Xms 이런 옵션 메모리 사이즈를 고치라는 조언이였다. 나는 이것을 고쳐도 잘 되지 않아서 다른 포스팅을 보고서 해결하였는데 두번째 Open File 밑에 jvm.dll의 절대경로를 써주는 것이였다. -vmC:\Program Files\Java\jdk1.8.0_77\jre\bin\..
hosts 파일이란?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는 파일로 호스트 이름과 이에 대응하는 IP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로 인터넷 접속 시 컴퓨터가 가장 먼저 확인하는 파일이다. 사람이 컴퓨터에 할당된 IP 주소를 기억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통신하는 컴퓨터에게 이름(호스트 이름)을 부여하고 그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로컬네임서버(DNS) IP를 도메인에 매핑시켜주는! 도메인?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 한글 등)으로 만든 인터넷 주소.http://www.krnic.or.kr/jsp/resources/domainInfo/domainInfo.jsp(도메인체계 - KRNIC) www.ahnlab.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 체계(FQDN)..
습득하는 과정이나 시간을 갖고,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 글을 쓰자 이때 다른사람은 1달 혹은 1년 뒤의 나 어떤 것을 적어야 할까? 설치방법오류 해결 방법새로 배운 내용공부한 내용 정리알게된 내용은 전부설치 과정 등 자주 반복하지 않는 내용문제 상황에 대한 파악하려고 했던 일경험한 문제의 상황시도해 본 방법왜 동작이 안되는지왜 동작을 하는지문제 상황의 재현예제 생성동작 방식에 대한 정리평소에 안보던 내용에 대한 공부 다른 사람들이 이해 할 수 있을 정도로 포스팅을 하려면 자신 또한 그만큼의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하므로!. 정리하고 적는 행위는 상당히 큰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글을 포스팅 하려면 그만큼의 공부나 개발을 진행해야 하므로 효과가 더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