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데이터통신

통신용어정리

채영도 2015. 11. 25. 16:19

무선랜카드 : 주변에 연결되어있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인터넷용ap를 무선랜카드가 장착되있는 장치에 연결시켜주는 장치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나 lte망을 잡아 쓸 수 있는 이유는 무선랜카드가 스마트폰 안에 장착되어있기 때문

SSID : Service Setidentifierd 무선공유기 또는 ap 장비의 고유한 식별자 SSID를 Hidden 이나 protection으로
해놓은 경우 반드시 무선랜카드 설정 쪽에서 이 값을 정확하게 입력된 프로파일을 만들어야 접속 가능
개방해놓은 경우 자동으로 입력되어 접속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개방되어있어서 리스트로서
사용가능하나 숨김기능이나 보호기능을 사용하면 해당 SSID를 알지 못하는 사용자는 접속이 불가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오류를 보고하고 ip패킷 프로세싱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ICMP는 TCP/IP네트워크에서 많이 쓰이며 네트워크의 작동 상황 및
상태의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쓰임.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의 약어로서 호스트가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
주소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ip주소를 동적으로 재할당하는 매커니즘을 포함.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해서 서버가 IP
주소를 부여한다는 컨셉


1. DCHP 가 랜 환경의 브로드케스팅을 감지합니다.

2. DHCP 가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으로 메세지를 전달합니다.

3. DHCP 가 서버에게 직접적으로 메세지를 전달합니다.

4. DHCP 가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으로 확인 메세지를 보냅니다.


관리자가 일일이 랜환경의 모든 MAC주소를 알고 있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DHCP는 자신만의 IP풀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기 때문에 미리 클라이언트 MAC 주소를 알고 있지 않아도 된다. DHCP 서버를 관리할 때
호스트마다 관리하는것이 아니라 SUBNET으로 관리할 수 있기때문에 훨씬 관리하기 쉽다.

MAC주소 : LAN에 연결하는 모든 포트나 장치에 필요한 표준화된 데이터 링크 계층 주소. 우리가 흔히 보는
Ethenet(네트워크카드)에는 각자 고유한 MAC어드레스가 존재한다.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들은 이 주소를 사용해
네트워크내의 특정한 포트를 찾으며 라우팅 테이블과 데이터 구조를 만들거나 업데이트 한다.

포트주소 : TCP에서 지원. 웹브라우져나 이메일, FTP클라이언트와 같은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한번에 실행시킬 때 네트워크
데이터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TCP와 UDP는 멀티플렉싱방법으로 데이터를 받는 컴퓨터들이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어떤 테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지 알게 된다. 이때 이용하는 것이 포트주소이다,

패킷 : 데이터 전송에서 송신 측과 수신측에 의하여 하나의 단위로 취급되어 전송되는 집합체 , 분할된 각각의
패킷에는 별도의 번호가 붙여지고 목적지의 인터넷 주소가 기록되며 에러 체크 데이터도 포함된다
파일을 분할해서 전송하지만 수신하는 곳에서는 원래의 파일로 다시 재조립된다. 어떤 정보를 보내는 최소의 단위

IPv4 , IPv6 : Internet Protocol version 4 & 6의 줄임말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주소체계이다. IP주소인데 IPv4라는 말은
4버전의 IP주소 체계라는 말이다.

DNS서버 : www.naver.com 등과 같은 도메인 주소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123.123.123.1등과 같은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 인터넷은 서버들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ip주소를 기본체계로 이용

1)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etc/resolv.conf 에 지정되있는 네임서버로 www.yahoo.com에 대한 요청을 전달한다.

2) 일반 네임서버는 루트네임서버의 IP주소를 기록한 'hint 파일'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참조하여 루트네임서버에
www.yahoo.com에 대한 요청을 전달한다. 루트네임서버는 최상위네임서버들의 네임서버명(NS레코드)과 IP주소(A레코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글루레코드(glue record)라고 한다. 이 글루레코드를 참조하여 .com네임서버를 참조하라고 응답한다.
(루트 네임서버는 전세계에 13개뿐이다)

3) .com네임서버에는 .com을 최상위도메인으로 사용하는 도메인들의 글루레코드를 가지고 있기에 이를 참조하여
 www.yahoo.com의 네임서버를 참조하라고 응답한다.

4) yahoo.com의 네임서버는 yahoo.com 도메인에 대한 존(zone)파일을 참조하여 www.yahoo.com의 IP주소(A레코드)를
 클라이언트가 최초 요청을 한 네임서버로 되돌려 준다.
5) 최초 요청을 받은 네임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www.yahoo.com의 IP주소를 전송한다. 


DNS서버는 한 번 검색한 결과는 메모리의 캐시에 기록하며, 같은 정보가 요청되면 캐시에 있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캐시에는 유효기간(TTL:Time To Live)이 정해져 있으므로 유효기간이 지난 정보는 캐시에서 삭제된다.

웹IP가 있고 LAN IP가 있는 데 LAN IP는 일반 사용자의 즉 호스트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다. 그렇다면 웹ip는 ? 호스트들을 아이피를 가지고 통신을 한다. 웹ip는 호스트들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웹의 주소?
인터넷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TCP/IP : 인터넷 네트워크의 핵심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에서 전송되는 정보나 파일들이 일정한 크기의 패킷들로 나뉘어
네트워크상 수많은 노드들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경로들을 거쳐 분산적으로 전송되고, 수신지에 도착한 패킷들이 원래의
정보나 파일로 재조립되도록 한다.

통신프로토콜 : 프로토콜을 규약이다. 커뮤니케이션 하는 컴퓨터들 간에 오류를 최소화함으로써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진 집합이 바로 통신 프로토콜이다. 통신 프로토콜은 컴퓨터 간 상호접속이나 전달 방식,
통신 방식, 주고받을 자료의 형식, 오류 검출 방식, 코드 변환 방식, 전송 속도 등을 정하는 것을 말한다.
기종이 다른 컴퓨터는 대개 서로 다른 통신 규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기종 컴퓨터들끼리 통신을 하려면 표준
프로토콜을 설정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모든 컴퓨터가 이를 채택도록 하는 것을 전제로 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통신프로토콜 가운데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이 TCP/IP이다.

EX)패킷 교환 방식과 이를 관장하는 TCP/IP의 기능은 다음과 같은 가상적 상황에 비교할 수 있겠다.
거대한 다목적 댐 공사로 수몰 위기에 처한 국보급의 가치를 지닌 목조 건축물을 옮겨야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그 건축물의 무게나 부피 때문에 통째로 운반하기 힘들다면, 일단 각 부분으로 해체하고 각각 번호를 붙여 대형트럭에
실어 고속도로나 국도를 통해 이동하는 게 현실적이다. 트럭들은 각기 다른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어떤 트럭은 국도를 타고, 다른 트럭은 고속도로로, 또 다른 트럭은 고속도로와 국도를 번갈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고만 없다면 결국에 모든 트럭들은 이전 대상 부지로 모일 것이다.
물론 해체된 건축물의 각 부분을 실은 트럭들이 출발한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지만 각 부분들을 명확하게 분류해
번호를 붙였기 때문에 이를 모아 다시 이전 부지에서 원형대로 재조립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데이터통신의 개요  (0) 2015.11.25
2. 네트워크 모델  (0) 2015.11.2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